제사상옷차림 사진 함께 나누다 이것만 따라한다면 제사상 차리기 끝
제사상 차리는 법
먼저, 제사 음식은 제수(祭需)라고 부릅니다. 제수는 지역마다, 그리고 각 집안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그 기본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기 때문 기본적인 부분을 제대로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제를 지내는 대상에 따라 상차림이 달라지기도 하고, 기제사냐 명절 차례상이냐에 따라서도 다르며, 한 번에 한 사람을 모시느냐 두 사람을 한꺼번에 모시느냐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것은 밥, 국, 숭늉인데, 명절 차례상에는 떡국이나 송편을 대신하여 올리기도 합니다.
국은 하얗게 끓여낸 쇠고기 뭇국을 가장 일반적으로 올리며, 숭늉으로는 미지근한 물에 밥알을 조금 풀어내 대신합니다. 이외에도 제사에 오르는 식품 종류들을 다음과같이 정리해 볼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제사상옷차림 사진
신위(지방) 쪽부터 1열 ~ 5열 절차로 정리해보았습니다. 각 음식의 방향에 따라 제사상 차리는 법은 위 제사상옷차림 사진을 참고하시거나, 글 아래 제사상 방향에 관해 정리해둔 목록을 확인해주세요. 1열 : 밥, 국, 떡 2열 : 산적, 전 3열 : 탕 4열 : 김치, 나물, 포 5열 : 과일, 과자 참고해서 제사상 과일 윗부분 깎는 이유는 불교에서 유래한 촉식으로, 조상님들께서 시각적으로 음식을 감상하고 맛보시라는 배려라고 합니다.
간소한 제사상이라고 해도 20가지는 넘어가게 되니, 제사상 주문 없이 바로 하시려면 이른 아침부터 준비하셔야 하겠습니다.
설날 추석 차례상과 제사상 식품 종류
설날, 추석과 같은 명절에 지내는 차례상과 죽은 분을 기리기 위한 제이념의 음식은 비슷하고 집안마다. 다른 것이 특징입니다. 기본적으로 차례상 아니면 제이념의 요리음식에는 생선, 산적(육고기), 구이 등이 상승하고 반찬 음식에는 나물이나 두부, 김치가 있습니다. 과일 및 후식 음식에는 배, 감(아니면 곶감), 사과, 대추, 밤 등이 올라갑니다. 또한 지방에 있는 열에 제사상에는 밥과 국을 놓고 설날에는 밥 대신 떡국을 추석에는 밥 대신 송편을 놓습니다.
차례란?
차례는 일 년에 3대 명절 중 두 번 설날과 추석에 조상님께 감사하는 의식을 지내는 것으로 집안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아침 일찍이 지내고 기본적인 제사와는 다릅니다. 보통 적게는 2대, 많게는 5대 조상님들의 신위를 모시는 위패를 여러 개 놓기도 합니다. 차례상을 차리는 법은 집안마다. 차이가 있지만 주자가례에 따르면 과일 방향과 놓는 순서는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제사란?
제사는 죽은 분을 기리기 위한 의식을 지내는 것으로 끝난 이의 넋에게 음식을 바치어 정성을 표하는 행위입니다. 집안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조상님의 신위를 모시는 위패는 한 개입니다. 고인을 추모하기 위한 정성의 표시로 돈을 많이 들여 차리기보다는 평상시 끝난 이가 즐겨 먹던 식품 아니면 집에서 먹는 반상복장으로 깔끔하게 차려 정성을 다하는 것입니다. 제사상에 상승하는 음식의 차례와는 다르게 밥과 국을 놓습니다(좌 반우 갱).
※ 위패란?
위패는 끝난 사람의 이름을 적어 그의 혼을 대신해야만 되는 목재 조각입니다.
종이로 만든 신주를 지방이라고 하고 나무로 만든 신주를 위패라고 합니다.
제사상 방향
제이념의 방향은 신위(지방)가 있는 쪽이 북쪽, 제주(술)가 있는 쪽이 남쪽이어야 합니다. 신위의 입장에서 우측이 동쪽, 왼쪽이 서쪽이어야 합니다. 제사상 차림표의 집기와 음식들의 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 접거 중 : 수저는 그릇에 담아 신위 앞 중앙에 놓습니다. 반서갱동 : 밥은 서쪽, 국은 동쪽으로 산사람과 반대입니다. 생동숙서 : 나물은 서쪽, 김치는 동쪽에 놓습니다. 어동육서 : 고기는 서쪽, 생선은 동쪽에 놓습니다.
두동미서 : 제사상 생선 헤어 방향은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하면 됩니다. 제사상 탕국은 육탕, 소탕, 어탕으로 나뉘며 3열에 배치하면 됩니다.
전라도는 홍어, 경상도는 문어
한국국학진흥원에서는 2017~2020년에 걸쳐 온 나라 종가의 제례음식을 조사한 바 있습니다. 당시 책임자였던 김미영 수석연구위원은 “과일과 푸성귀(채소)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어류에서는 지역별 특징이 두드러졌다”라고 했다. 예를 들어 갯벌이 다양한 전라도와 충청도에서는 낙지와 꼬막을 제사상에 차리지만, 경상도에서는 올리지 않습니다. 또 충청도와 전라도의 제사상에는 홍어가 올라가지만, 경상도에서는 문어를 최고 제물로 여긴다.
[iframe src=”https://www.youtube.com/embed/U_AB6HFCOFU” width=”560″ height=”315″]
이런 현상은 등의 모든 예서에 제물의 구체적인 명칭이 없는 탓에 자연적으로 지역 산물을 중심으로 제사상을 차린 데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김미영 연구위원은 “조율시이나 홍동백서 등의 근거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연관 FAQ 항상 묻는 질문
제사상 차리는 법
먼저, 제사 음식은 제수(祭需)라고 부릅니다.
기본적인 제사상옷차림 사진
신위(지방) 쪽부터 1열 ~ 5열 절차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설날 추석 차례상과 제사상 식품 종류
설날, 추석과 같은 명절에 지내는 차례상과 죽은 분을 기리기 위한 제이념의 음식은 비슷하고 집안마다.